주요 IT 용어 정리
MVNO (Mobile Virtual Network Operator)
기존 이동통신기업(MNO)으로부터 통신사업에 필요한 망을 빌려 독자적으로 주파수를 확보하고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 4의 통신회사이다
주파수의 망을 보유하지 않아도 되는 만큼, 모든 역량을 영업에만 집중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인 대리점과의 다른 점은 독자적으로 기업 정책과 판매 전략을 수립하고 고객의 가입서비스에 완전한 지배권을 갖는다
또한 독자적인 요금 체계를 설정할 수 있어, 고객의 선택권이 다양해지며, 서비스의 종류가 많아지고 요금 인하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
검색엔진
인터넷에서 정보를 찾는 가장 보편적인 방식. 수없이 많은 엔진이 있으며 각각은 자신들 고유의 독특한 스타일과 제공정보를 가지고 있다.
네티즌
인터넷 사용자 또는 네트워크 자료를 이용하는 사람
넷스케이프
웹브라우저의 이름이자 회사명. 넷스케이프 브라우저는 국립 슈퍼 컴퓨터 응용프로그램 센터에서 개발된 모자이크 프로그램에 기반을 두고 있다.
러킹(Lurking)
유즈넷 뉴스그룹으로 온라인 소비자 서비스 포럼이다. 어떤 것도 공지하지 않고 이메일 발송 리스트를 읽는 일을 한다. 러킹이란 그룹내의 다른 사람들이 무엇을 하고 있는지를 관찰하는 것을 말한다.
메일 봍(Mailbot)
수신한 모든 메일에 자동적으로 응답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다. 메일봍나 자동응답기는 메일 송신자에게 파일이나 메시지를 보냄으로써 응답한다.
메타인덱스(Meta-Indexes)
구체적인 어떤 주제에 관련된 리소스의 리스트로서 구체적 주제에 관심있는 사람들을 위해 리소스된다. 메타-인덱스는 단순히 관련된 인터넷 리소스의 URL의 모음이며, 제목순으로 웹페이지에 정렬되어 있다.
바이퍼링크(Vaporlink)
인처넷 상의 사이트 링크에 더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되어 있다. 바이퍼링크는 존재하지 않는 것이며 다른 것들과 연결되지 않는 막다른 링크이다.
백본(backbone)
크기가 작은 전송선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운반하는 거대 전송선으로 라인과 경로는 로컬 네트워크나 지역 네트워크를 함께 연결하여 원거리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접속지점은 네트워크 노드 또는 원격 통신 데이터 스위칭 익스체인지이다.
브라우저
여러 가지 다양한 인터넷 공급 자원이나 사이트를 보기위해 사용되는 소프트웨어
사용자세션
메일 웹사이트에 접속하는 독특한 주소를 가진 사용자를 말하며 가끔씩 20여분 내에 사이트에 들어가지 앟는 사용자들에 의해 결정되기도 한다. 사용자 세션 통계치는 이따금 당일 방문자의 숫자를 가리킨다.
스파이더
문서, 제목, 또는 웹을 이용하면서 얻은 각각의 문서를 부분을 색인화하는 자동화된 프로그램
쿠키
쿠키란 웹서버로부터 웹브라우저로 보내진 정보의 조각을 말한다. 브라우저 프로그램은 쿠키를 저장하며 추가요청이 있을 때마다 그 정보를 서버로 되돌려 보내는 역할을 한다. 쿠키는 사용자 참고사항,등록,로그인 정보, 온라인 쇼핑정보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크롤러(Crawlers)
크롤러는 웹사이트를 흝으며 찾아낸 정보를 색인화한다.
텔넷(Telnet)
인터넷 상의 다른 컴퓨터 또는 다른 게시판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으로 원격 실행이 가능하다.
포스팅
뉴스그룹 허가와 같이 네트워크 통신 시스템에 들어간 메시지를 일컫는다.
플레임
플레임은 일방적으로 뉴스그룹이나 메일 발송 리스트 주소에 메시지를 보냄으로써 단체나 개인에게 직접적으로 거친 언어를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하이퍼텍스트(Hypertext)
다른 문서에 링크되어 있는 클릭 가능한 텍스트로서 읽는 사람에 의해 클릭될 수 있는 한가지 문서 안의 단어나 구절. 다른 문서를 복구시키고 보여줄 수도 있다.
호스트(Host)
네트워크 상에서 다른 컴퓨터보다 유용한 파일을 보유하는 것을 말하며, 네트워크 상의 어떠한 컴퓨터도 호스트가 될 수 있다. WWW나 유즈넷과 같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한가지 호스트 컴퓨터를 가지는 것이 통상적이다.
BBS(게시판 서비스)
메시지나 파일들을 공유하거나 교환하려는 목적으로 텔넷이나 컴퓨터 모뎀을 통해 접근할 수 있는 컴퓨터. 보통 BBS는 특정분야를 위해 만들어진 것과 일반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해 만들어진 것 등으로 구분된다. 최종적인 BBS리스트를 보면 세계적으로 4만여 개가 넘는 BBS가 있다.
CGI(Common Gateway Interface)
같은 컴퓨터 내의 다른 종류의 소프트웨어와 웹서버가 통신하는 것과 CGI 프로그램이 웹서버와 통신하는 것을 규정짓는 가이드라인
CPM(Cost Per Thousand Page Views)
이것은 활자 광고에서 취하는 양이다. 모드 svp이지가 광고를 보여주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CPM은 1천개의 광고화면에 대한 비용을 의미할 때가 많다.
FTP(파일전송 프로토콜)
인터넷 매체를 통하여 두 컴퓨터 간에 파일을 옮기는 통상적인 방법. FTP는 파일을 복구하거나 전송하려는 목적으로 다른 컴퓨터나 인터넷 사이트로 로그인하는 특별한 방식이다.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 HTM)
WWW상에서 사용할 목적으로 문서를 만들떄 사용된 코드언어. 이러한 문서는 확장된 html이나 htm의 파일을 가지고 있다.
HTTP
인터넷에서 여러장소로 하이퍼텍스트 파일을 옮기기 위해 WWW에서 사용되는 사장 중요한 프로토콜. 한편에는 HTTP 클라이언트 프로그햄을 다른 편에는 HTTP서버 프로그램 필요하다.
SQL(구조화된 검색어)
데이터베이스로 검색 명령을 내리는 전문화된 프로그래밍 언어
URL
WWW에서 인터넷 상의 리소스 주소를 제공하는 표준화된 방식. URL을 사용하는 것은 WWW 브라우저 프로그램, 즉 인터넷 익스플로러, 넷스케이프. 린스로 들어가는 가장 통상적인 방식으로 로케이션 바에 직접 입력한다.
ITU 국제전기통신연합 [ 國際電氣通信聯合 ,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
1865년 5월 17일에 국제전신연합으로 창설하여 1932년 마드리드 만국무선전신회의에서 지금의 명칭으로 바꾸었다. 1932년 국제전기통신협정에 따라 국제전신협정과 국제무선전신협정을 통합하였고 협정의 효력이 발생하는 1934년부터 국제전기통신연합이 국제전신연합을 계승하였다. 1947년부터는 국제연합(UN) 전문기구가 되었으며 협정 내용도 몇 차례 개정하였다.
창설 목적은 전기통신 개선과 전파의 합리적 사용에 관한 국제적 협력을 꾀하고, 전기통신업무의 능률을 증진시키며, 이용과 보급을 위한 기술적 수단을 발달·촉진하고,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의견을 조정하는 것 등이다. 상설기관으로 전권협의회·세계행정관리협의회·관리이사회·사무국·국제주파수등록위원회·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국제무선통신자문위원회 등이 있었으나 1992년 제네바 추가 전권회의에서 조직이 전면 개편되었다.
개편된 조직은 전권위원회의(최고 의사결정기관), 이사회, 무선통신 부문(Radio-communication Sector), 전기통신표준화 부문(Telecommunication Standardization Sector), 전기통신개발 부문(Telecommunication Development Sector) 및 사무총국으로 구성되어 있다.
무선통신 부문은 종전의 국제주파수등록위원회와 국제무선통신자문위원회의 기능을 대부분 계승하였으며, 전기통신표준화 부문은 종전의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와 국제무선통신자문위원회의 기능 일부를 계승하였다. 전기통신개발 부문은 범세계적 전기통신의 균형적 개발과 개발도상국에 대한 기술지원 및 협력 기능을 수행한다.
2002년 현재 189개국이 가입하였으며, 한국은 1952년에 회원으로 등록하였다. 처음에는 베른에 본부가 있었으나 1948년 스위스 제네바로 옮겼다.
TDMA [ 時分割多重接續 ,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는 하나의 중계기를 매개로 하여 다수의 기지국이 다원접속하여 동일 주파수대를 시간적으로 분할하여 신호가 겹치지 않도록 상호통신을 하는 시분할다중접속 방식을 말하며, 디지털 셀룰러폰 통신에 사용되는 기술이다.
동기식(syncronous) TDMA와 비동기식(asynchonous) TDMA가 있다. 동기식은 신호의 송수신기본주기가 되는 시간 프레임이 고정된 길이를 가지므로 연결된 모든 기지국이 각각에게 할당된 시간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보장된다. 비동기식은 각각의 기지국이 임의의 접속권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들을 조절하는 특별한 방식을 적용한다.
TDMA 방식은 하나의 중계장치로 다원접속할 때 반송파가 일시에 증폭되어도 1개파이기 때문에 접속하는 국수가 증가해도 중계기를 포화영역에서 동작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반면 실제 전송할 데이터의 양에 상관없이 한 전송로의 데이터 전송시간을 일정한 시간폭으로 나누므로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다중화(multiplexing)는 여러 개의 단말장치가 하나의 통신회선을 통하여 결합된 형태로 신호를 전송하고 이를 수신측에서 원래의 형태로 분리해 주는 것을 의미하는데 한정된 전송로를 경제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것이다. TDMA 외에 FDMA(주파수분할다중접속) 방식, CDMA(부호분할다중접속) 방식이 있다.
ISDN [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
ISDN의 구상은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CCITT)의 1980년 11월 총회에서 발표되었으며, 고도정보화사회의 기반을 이루는 통신망으로서 한국을 비롯하여 각국에서 개발과 서비스되고 있다.
미국에서는 AT & T(American Telephone & Telegraph Co.)를 비롯하여 민간통신회사가 개별적인 디지털 통신망 구상의 실현을 도모하였으나, 한국과 유럽에서는 국가적으로 일원화된 시스템 건설을 지향하고 있다. 영국에서는 영국통신회사(BT)가 시스템 X 교환망의 건설을 구상하고 있고, 프랑스에서는텔레마티크 계획에 따라 국가적인 프로젝트로서 ISDN의 실현에 착수하고 있다. 독일은 텔렉스와 다텍스(데이터 통신망) 통합망 및 광섬유망(비그폰 계획)에 의하여 ISDN을지향하고 있다. 한국은 국가적인 사업으로 한국통신에서 ISDN을 구축하고 있으며 이미 시범운영을 거쳐 1990년대 중반부터 사용 서비스를 하고 있다.
B-ISDN(Broadband ISDN) 즉, 광대역 종합정보통신망은 간단한 데이터전송 또는 음성전송은 물론영상전화, 영상회의, 고화질텔레비전(HDTV), 유선방성(CATV) 등 영상서비스와 정밀화면 컬러팩시밀리 등 다양한 고속전송 및 광대역전송을 가능하게 한다.
PSTN [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
교환국을 통해 불특정 다수의 가입자들에게 음성 전화나 자료 교환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 이용하여 자료 전송을 하려는 경우에는 모뎀을 사용하여야 한다. 우리나라에는 약 1800만 이상의 전화 가입자가 접속되어 있으며 어느 전화기에서도 상대방 전화번호를 누르면 15초 이내에 1800만 여개 번호 중에서 오직 다이얼한 그 번호를 정확하게 골라 접속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각 가정(또는 사무실)의 전화기는 가입자 선을 통하여 전화국의 교환기에 접속되어 있는데 가입자 선을 수용하는 이 교환기를 지역교환기(LS:Local Switch, 가입자 선 교환기라고도 함)라고 한다. LS가 설치되어 있는 전화국은 보통 가입자를 수용하기 편리하도록 그 구역의 중심에 자리잡고 있으며, 수km 내지 십수km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교환기는 작은 스위치의 집합으로, 다이얼한 번호를 따라 차례로 스위치를 닫아서 전화를 걸고자 하는 상대방의 가입자 선에 접속하게 해준다. 상대방이 같은 구역 내에 거주하고 있으면 같은 LS 내에서 쉽게 접속될 수 있지만, 다른 구역에 있을 경우에는 그 구역의 LS까지 전송로를 연결시키지 않으면 안 된다. 그래서 시외전화일 때는 경로가 훨씬 복잡해진다. 다이얼 숫자를 보고 시외전화임을 식별하게 되면 LS는 시외전화국의 교환기를 선택하여 접속하고, 여기서 상대방의 구역에 접속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가입자와는 직접 접속하지 않고 교환기와 교환기를 중계하는 기능을 가진 교환기는 시외 교환기 또는 시외 중계교환기라고 부른다. 전화국과 전화국 사이를 연결하는 전송로는 국간 전송로라고 하며, 전송로 매체로는 동축케이블, 마이크로웨이브 무선, 그리고 최근에는 광섬유 케이블 등이 사용되고 있다.
랜 [ LAN ]
LAN은 local area network의 약칭이다. 공간적 규모가 큰 지역 즉, 도시·국가 또는 전세계로 연결되는 통신망인 WAN(wide area network:광역통신망)에 상대되는 개념이다.
랜의 특징은 광대역 전송에 사용되는 통신 매체를 사용하여 고속통신이 가능하고, 통신망 내의 어떤 기기와도 통신할 수 있고, 통신 오류율이 매우 낮으며, 경로 선택이 필요 없고, 방송 형태의 이용이 가능하며, 접속하는 기기들의 값이 싸고 확장이 간편하며, 원거리에 있는 다른 랜과 접속하기도 쉬워 적은 비용으로 원거리 컴퓨터들과 통신을 할 수 있다는 점이다.
랜의 발전으로 과거의 대형컴퓨터와 광역통신망으로 이루어지던 중앙집중식 처리 형태에서 소형 컴퓨터에 의한분산 처리 형태로 발전할 수 있었으며, 분산 처리 방법의 대명사인 클라이언트·서버방식도 탄생할 수 있었고, 각종 멀티미디어 정보를 손쉽게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고할 수 있다. 아울러 인터넷이 발전할 수 있었던 것도 랜의 발전이 기여한 바가 매우크다고 할 수 있다.
무궁화위성 [ 無窮花衛星 , KOREASAT ]
무궁화위성 사업은 위성 고유의 동보성·광역성·내재해성을 바탕으로 직접위성방송(DBS), CA TV 중계, 비상재해 통신 등 첨단 위성통신, 방송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뉴미디어 시대를 열고, 위성관련 첨단 기술개발과 산업육성을 도모하고 위성궤도 및 주파수 자원을 조기에 확보하여 미래의 우주개발 경쟁에 대비하려는 목적에서 추진되었다.
이에 따라 미국 남부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내버럴곶(케네디 우주센터)에서 맥도넬더글러스의 델타 Ⅱ 로켓에 의해 1995년 8월 5일 주위성을 발사하였으나 정지궤도에는 8월 30일에 진입하였다. 예비위성은 12월에 발사하였다.
적도 상공 약 3만 6천km, 동경 116°의 지구정지궤도상에 발 사되어 국내 위성통신 및 운행차량, 선박의 위치 등 각종 위성 데이터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한국통신이 운용하며, 3축자세제어방식(날개형)의 위성으로 위성체 중량은 612kg, 태양전지판(초기 출력 1,800W)을 펼친 상태에서의 총길이 약 15m, 운용수명은 10년으로 예상하였으나 정지궤도 진입이 늦은 관계로 약 5년으로 보고 있다.
통신용중계기(출력 14W/주파수 대역폭 36MHz) 12개와 방송용중계기(출력 120W/주파수 대역폭 27MHz) 3개(12개의 방송채널 용량)를 탑재하였다.
위성이 발사하는 전파빔은 그 중심점을 전라북도 무주지역에 두고 한국 전역과 일본, 연변 일대를 대상으로 한다. 위성관제소는 경기도 용인시와 대전광역시 대덕구에 있다. 무궁화 2호 위성은 1996년 1월에 발사, 궤도진입에 성공하였다.
또한 1999년 9월 5일에 무궁화 3호를 발사함으로써 초고속 위성 멀티미디어 인터넷, 다채널 디지털 위성방송, 기업 통신 네트워크 등에 다목적으로 할수 있게 되었다.
LCD(Liquid Crystal Display:액정 표시 장치)
제2의 반도체라 불리며 각광을 받고 있는 LCD는 액정의 특성과 트랜지스터 동작 특성을 이용하여 얇은 박막의 형태로 화면을 구성해 운반과 사용의 편리성을 증대시켜 점차 무거운 CRT 용도를 대체해 나가고 있는 차세대 화면 표시 장치이다.
작은 캠코더에서부터 노트북, 모니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 적용되고 있고, 향후 벽걸이 TV로의 활용도 예상되며,
윈도우 바이러스
(보자 바이러스, Anxiety.Poppy 바이러스, CIH, I-Worm.Happy99 W97M/Melissa 바이러스, Win32_Worm.ExploreZip )
윈도우 전용 바이러스는 윈도우 3.1에서 동작하는 Tentacle, Tentacle-II 바이러스와 윈도우 95 및 윈도우 NT에서 동작하는 '보자' 바이러스(또는 비자취 바이러스)와 Anxiety.Poppy 바이러스가 발견되면서 주목받기 시작했다. 윈도우 시스템은 도스 시스템에 비해 비교적 바이러스에 관한 한 안전한 것으로 인식되었으나, 이러한 바이러스들의 출현으로 윈도우 바이러스에 대한 인식이 바뀌었고 현재 대부분의 PC에 탑재된 Win95, 98, NT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다수의 윈도우 바이러스들이 출현하여 심각한 피해를 입히고 있다.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미 국방부에서 군사용도로 개발한 인공위성을 이용한 위성 항법 시스템.
GPS 위성을 이용하여 지구상의 이동체의 정확한 위치, 속도 등의 정보를 제공한다. 이 GPS 시스템은 차량용 네비게이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 HPC) 등과 연결하여 그 사용이 민간 부문으로 크게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현재 그 사용 환경에 따라 정확도에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 향후 매우 높은 정확도로 위치 확인 및 정보 제공 기술이 가능할 것이다.
이에 비하여 GIS라는 것은 지리 정보 시스 템으로, 지구상의 지형 데이타를 캐드 툴을 사용하여 도면화하고 또 이를 데이타베이스화하여 고속 철도나 공항, 항만 건설 등의 대규모 사업 추진시에 이용하는 것을 말한다.
IP(Information Provider)
주로 PC 통신을 통하여 각종 정보를 제공하고 그에 해당하는 수수료를 받는 정보 제공업 또는 그 업체를 말한다.
PC 통신 인구가 지속적으로 늘어가는 상황에서 다양한 IP들이 국내 통신 서비스 채널(천리안 하이텔 유니텔 나우누리 등등)에 자신의 사업장을 개설하고 IP로서 사업을 한다. 인터넷을 통한 정보 제공업은 ISP(Internet Server Provider : 인터넷 접속 제공업자)에 가입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CP(Content Provider)라 하여 다르게 부르고 있다.
LCD(Liquid Crystal Display:액정 표시 장치)
제2의 반도체라 불리며 각광을 받고 있는 LCD는 액정의 특성과 트랜지스터 동작 특성을 이용하여 얇은 박막의 형태로 화면을 구성해 운반과 사용의 편리성을 증대시켜 점차 무거운 CRT 용도를 대체해 나가고 있는 차세대 화면 표시 장치이다.
작은 캠코더에서부터 노트북, 모니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 적용되고 있고, 향후 벽걸이 TV로의 활용도 예상되며, 최근 상당히 빠른 속도로 기술적 진보를 이루어 화면이 점차 대형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스마트폰 Smart Phone
움직이는 개인 비서라 할만큼 똑똑한 휴대전화를 말한다 PDA폰에서 진화
다양한 프로그램을 사용, 애플, 구글, 안드로이드, 심비안 블랙배리 등이 있다
전화 기능이 있는 소형 컴퓨터라고 말할 수도 있다
안드로이드마켓
구글의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할 수 있게 해주는 서비스다
‘구글의 정책에 따라 사용자가 구입한지 24시간 내에 다운로드 한 어플리케이션을 구매 금액의 전액을 환불하는 것이 앱스토어와 다르다
태블릿 PC Tablet PC
태블릿이란 도형 입력판이란 뜻으로 태블릿 PC는 키보드 대신에 터치스크린을 입력장치로 사용하는 PC를 지칭, 최근 현재 갤럭시탭과 아이패드 등이 태블릿 PC이다
애플리케이션 Application
(응용프로그램)이란 의미, 특정한 기능을 직접 수행하도록 설계된 프로그램 ex. 워드프로세서, 웹 브라우저, CNCOM 전산 같은 것을 말함
앱스토어 App Store
애플이 운용하는 아이폰 아이팟 S/W 다운로드 서비스
일반 이용자는 자신이 개발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등록 가능, 앱스토어를 , 개발자 수익-70%, 애플이 30% 수수료를 받는다
엑세스포인트 Access Point
무선 랜을 구성하는 구성 장치 중의 하나임, 대부분의 무선인터넷은 단지 유선으로 된 인터넷 신호를 무선으로 변화시켜주는데, 유선 신호를 무선으로 변화해 전파를 송수신하는 장비를 AP 또는 유 무선 공유 기라 한다
모바일 디바이스
어떤 특정한 목적을 위하여 구성한 기계적, 전기적, 전자적인 장치
오픈소스환경 Open source
무상으로 공개된 소스코드 또는 소프트웨어,OSS라고도 한다, 소프트웨어의 설계도에 해당하는 소스코드를 인터넷 등을 통하여 무상으로 공개, 누구나 그 소프트웨어를 개량하고 재 배포할 수 있도록 하는 소프트웨어를 말한다
안드로이드 플랫폼
운영체제(OS)부터 미들웨어, 그리고 자바(Jaba) 언어로 개발되는 중요 모바일스텍이다, 즉 단말기와 하드웨어를 제외한 모든 SW의 계층을 포함
트위터 Twitter
“온라인 인맥 구축을 도와주는 서비스”무료 소셜 네트워킹 겸 마이크로 블로그 서비스로,사용자들 끼리 140자 내의 단문 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서비스 / 파이낸셜 타임스(FT)는 트위터가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돌풍을 일으키고 있다고 말하고 있다
튜토리얼 tutorial
학습 내용을 제세해 주고, 학습자에게 처음 대하는 내용의 이해를 돕기 위한 안내를 해주는 프로그램, 교사의 역할을 뜻함
인터페이스 interface
하나의 시스템을 구성하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또는 2개의 시스템이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접속되는 경계(boundary)나 이 경계에서 상호 접속하기 위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조건, 규약 등을 포괄적으로 말한다
팜 OS Palm OS
팜소스(PalmSource, Inc.)에서 개발한 PDA 및 스마트폰 운영체제로, 여러 회사들에서 라이선스를 취득하여 사용하고 있다.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전화번호부, 시계, 메모장, 동기화 보안 소프트웨어 등을 기본 탑재하고 있다.
아이튠즈 i-Tunes
컴퓨터 내에 음악과 동영상을 관리, 아이튠즈 , 영화 등을 구매할 수 있으며, 아이팟과 TV, 모토로라 ROKR, 아이폰 아이튠즈와
멀티테스킹 Multitask
다중 작업이라는 의미, 엄밀히 말해 한 개의 CPU(중앙처리장치)를 가진 개인용 컴퓨터는 특정 순간에 수행되는 태스크의 개수가 하나다 멀티테스킹은 스케줄링이라는 방식을 사용, 사용자에게 병렬 컴퓨팅이 이루어진 것 같은 환경을 제공한다
위젯 방식
위젯을 , 광고만이 위젯의 위젯 위젯에 간법 위젯 (대한민국의 게임 개발 기업)
TFT
Thin Film Transistor 의 약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인 MOS(Metal Oxide Semiconducter)FET의 일종으로 유리 기판위에 아모퍼스실리콘(a-Si)등의 반도체 박막을 형성시켜 여기에 FET 구조를 만든 것을 말한다
리눅스 Linux
소프트웨어와 오픈 소스 개발의 가장 유명한 표본으로 컴퓨터의 운영체제를 말한다,
스냅드레곤
퀼컴사의 차세대 플랫폼의 명칭,
OZ 아레나 MAXX가 스냅드래곤을 장착했다
디빅스DivX
DivX사가 MPEG-4 기술을 기반으로 독자적으로 개발한 영상 코덱이다. 처음 개발 당시에는, 오디오 코덱만 존재하였으나, 이제는 영상 코덱 만이 제공되고 있다 /디브이디(DVD)를 변질하여 만든 영화 파일
코덱 CODEC
coder와 decoder의 합성어. 화상 등을 디지털신호로 A/D변환하는 부호화 장치와 그것을 D/A변환하는 복호 장치.
CMOS
컴퓨터 채널이 다른 모스(MOS) 직접 회로를 짜맞추어 구성한 칩, 동작 속도는 늦지만 소비 전력이 매우 적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휴대용 계산기, 전자시계, 초소형 컴퓨터 따위에 널리 쓴다
WQVGA
Wide QVGA, Wide Quarter VGA-와이드QVGA
400X240픽셀의 해상도를 말한다, QVGA(320X240)의 가로폭을 넖힌 것
PDA나 휴대전화 등에 쓰이고 있다
VOIP 인터넷 전화
(Voice over Internet Protocol)는 기존부터 사용되고 있는 데이터통신용 패킷망을 인터넷 폰에 이용하는 것. 음성 데이터를 인터넷 프로토콜 데이터 패킷으로 변화하여 일반 전화망에서의 통화를 가능하게 해주는 통신서비스 기술. 인터넷폰이 바로 VoIP를 사용한 예이다.
PSTN
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공공 통신 사업자가 운영하는 공중 전화 교환망을 말한다
페이스 북 Face book
Face book은 소셜 네트워크 웹사이트이다. 친구들과 대화하고 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정보를 공유할 수 있음, 누구든지 무료로 가입 가능 2004년 2월 4일에 당시 하버드 대학교의 학생이었던 마크주커버그가 설립
UI
사용자 인터페이스 user interface(영어)의 약기. 디스플레이, 키보드, 마우스 등 컴퓨터 시스템과 이용자를 잇는 시스템.
인터페이스Interface
인터페이스는 크게 3가지 용도로 쓰이는 용어이다. 즉, 2개 이상의 장치 사이에서 정보와 신호를 주고받는 경우의 접점(接點) 또는 경계면, 혹은 장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장치 그 자체, 혹은 소프트웨어를 연결하는 경우의 경계면을 말한다. 기업의 비밀에 해당하는 내용을 공개하지 않는 경우도 있지만, 보통 이용자가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필요한 인터페이스는 제작자로부터 제공되는 안내서 등에 기재되며 데이터 양식이나 명령어 등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인터페이스를 공개하는 것이 관련기기나 소프트웨어의 개발을 촉발시키기도 한다. 현상적으로는, 시장점유율이 높은 IBM에 대해 조기에 공개할 것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관련기기 제작자나 [[소프트웨어개발업자 사이에 높아지고 있다.
LTE
4세대(4G)형 이동통신 : LTE(Long Term Evolution)
KT와 통합LG텔레콤은 4G 직전 기술인 LTE방식으로 주파수 할당을 신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Feature phon
피쳐폰(feature phone)‘ : 스마트 폰이 아닌 일반 휴대폰
File viewer
상용 프로그램으로 제작된 파일의 내용을 라이선스가 없는 일반 사용자도 볼 수 있도록 별도로 제작 배포한 간단한 프로그램. 아래아 , 워드, 파워포인드, PDF 등을 구입하지 않은 사람도 뷰어만 .
node
데이터 통신망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로에 접속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단위 주로 통신망의 분기점이나 단말기의 접속 점을 이른다
FMC Fixed Mobile Convergence
동일한 단말을 장소나 상황에 따라 이동 통신과 유선 통신의 쌍방에서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이나 서비스로 휴대 전화를 가정의 무선 전화의 자기나 기업의 내선 전화로서 이용하는 서비스
모듈 : [컴퓨터] 모듈 (독자적 기능을 가진 교환 가능한 구성 요소)
키 패드 Keypad
컴퓨터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독립된 작은 장치
레지스터 Register
CPU내부에 계산을 위해 일시적으로 수치를 넣어두는 부분.
CPU는 메모리에서 데이터를 한번 레지스터에 넣은 다음 더하기, 빼기, 곱하기, 나누기나 논리 연산 등을 실행한다.
디바이스
[(device) 특정한 목적을 위하여 구성한 기계적· 전기적· 전자적인 장치. 또한 컴퓨터에서 온라인으로 연결한 주변 기기 장치 또는 트랜지스터, 다이오드, 메모리 디바이스 등을 말할 경우도 있다.
웹사이언스(Web Science)
월드와이드웹의 창안자인 팀 버너스 리가 지난 2005년 새롭게 제시한 연구 주제로, 웹에서 만나는 사람들 간의 의사소통, 신뢰, 자기 정체성, 집단 지능의 구현 등이 대표적인 주제이고 미디어로서의 인터넷이나 블로깅의 사회 정치적 의미, 그룹 의사 결정 모델, 온라인 평판 등 사회적인 주제도 웹 사이언스의 영역입니다. 웹을 중심으로 인문학과 법학, 자연과학 등 다양한 학문이 융합된 새로운 학문 영역이라고도 할 수 있다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요 IT 용어 정리--- 1 (0) | 2012.11.27 |
---|---|
꼭 알아야하는 IT용어 - 2편 (0) | 2012.11.27 |
꼭 알아야하는 IT용어 - 1편 (0) | 2012.11.27 |
RIA Framework Appcelerator (0) | 2012.11.20 |
MCU란 무엇이며 어느 곳에 쓰여지고 있나? (0) | 2012.1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