꼭 알아야하는 IT용어
- 용어 2편-
세션, RFID, 파이어폭스/크롬, VoIP, 캐쉬, CDMA,
가상전화번호, 코덱, DirectX, 아이핀
세션
"세션이 만료되었습니다." 웹에서 결제를 하거나 게임을 하려는데 세션이 만료가 되었다고 다시 로그인 하라고 하죠. 세션이란 인터넷 환경에서 일정 작업을 하기 위해 유효한 시간 또는 그러한 연결 상태입니다. 보통 보안과 연관된 로그인과 같은 작업을 할때 세션을 사용합니다. 쇼핑몰에서 찜한 목록은 저장되어 있지만 장바구니 목록은 다음 로그인 시에 저장 되어있지 않죠. 로그아웃 시에 세션이 종료되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로그인 후 일정 시간 이상 움직임이 없을 경우, 보안을 위해 세션이 종료되어 로그인 상태를 유지할 수 없도록 합니다.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는 쉽게 말해 IC칩과 무선으로 다양한 개체의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인식 기술입니다. 사물에 태그를 부착하여 전파를 이용하여 원거리에서 정보를 인식합니다. 이름도 '라디오파 인식'이라는 뜻이죠. 가장 가까운 예가 바로 교통카드! 요즘엔 신용카드나 학생증에도 전자태그가 부착되어 RFID 리더로 인식이 가능하죠. RFID는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가방 속에서도 인식가능한 정도로 무선 교신이 잘 이루어지기 때문에 바코드를 대신하는 기술로, 여러 분야로의 활용이 기대되고 있습니다.
파이어폭스 / 크롬
인터넷을 할 때 일반적으로 많이 쓰는 웹 브라우저는 MS사의
인터넷 익스플로러 죠. 하지만 모든 웹 브라우저가 익스플로러인 것은 아닙니다. 그 외에
파이어폭스(줄여서 '파폭'이라고도 합니다)와 구글의
크롬,
오페라 등이 있고, 맥OS의 기본 브라우저는 애플의
사파리입니다. 파이어폭스와 크롬에서는 ActiveX가 실행되지 않기때문에 ActiveX가 만연한 한국 사이트의 일부 기능이 제한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한국 사이트에서 결제를 해야한다면 반드시 익스플로러를 써야합니다. 인터페이스는 크게 차이가 없지만 속도나 기능의 차이 때문에 파이어폭스나 크롬을 쓰는 인터넷 사용자들도 꽤 있답니다.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는 인터넷에 음성 데이터를 실어보내는 기술로, 간단히 말해 인터넷전화입니다. 회선교환방식의 일반전화와는 달리 IP 네트워크를 통해 음성을 전송합니다. 인터넷 전화는 음성과 데이터를 하나의 망으로 전송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070'이라는 번호로 전화가 와서 광고전화인가 했는데 인터넷 전화로 건 번호였습니다. '070'은 우리나라의 인터넷 전화 식별번호입니다. 요금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어 가정에서도 인터넷 전화를 사용하는 사람이 많아졌습니다.
캐쉬(캐시, Cache)
안드로이드 폰을 쓰다보니 응용프로그램 관리에 '캐시 지우기'라는 것이 있습니다. 캐쉬들이 메모리를 차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죠. 캐쉬란 하드디스크에서 읽어들인 정보를 임시로 저장하는 보조기억장치입니다. 자주쓰는 파일을 캐쉬에 저장하여 빠르게 로딩할 수 있도록 합니다. 예를 들어 웹페이지의 이미지 같은 것들을요. 캐쉬가 많이 쌓이면 느려지는 원인이 될 수 있으니 캐시 정리를 해주는 것은 필수!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는 휴대전화 011,017 세대(2G)의 디지털 이동통식 방식입니다. 확산대역기술을 이용한 다중접속방식으로 부호분할다중접속이라고 합니다. 넓은 대역폭의 신호를 확산시켜 전송하고, 확산시 사용한 부호를 이용하여 수신된 신호를 역확산 시키는 방식입니다. 애플의 아이폰이 3G망이 아닌 CDMA 기술을 적용한 방식으로 출시할 수 있다고 발표를 하기도 했습니다. CDMA방식을 선호하는 한국과 일본에 큰 변동이 올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습니다. 그렇게 된다면 011,017 번호를 고수하길 원하는 2세대들도 번호 변경 없이 아이폰을 사용할 수 있게 되겠네요.
가상전화번호
어떤 외식업계에서 피자를 주문하면 고객의 전화번호가 가상번호로 전환되어 영수증에 생성되기 때문에 개인정보가 유출되지 않습니다. 가상전화번호는 단말기 고유의 전화번호가 아니라, 추가로 붙일 수 있는 전화번호입니다. 가상전화번호를 이용하면 휴대전화가 없어도 문자메세지를 주고 받을 수 있습니다. 가상전화번호는 필요한 기간 동안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스팸전화나 개인정보 유출의 문제를 피할 수 있습니다. 기업에서는 고객 상담 때에도 가상전화번호 서비스를 도입하여 개인 정보 보호를 하고 있습니다.
코덱(Codec)
영화를 보려고하는데 코덱이 맞지 않다고 재생이 되지 않거나 소리가 들리지 않던 경험 다들 있으시죠? 그 놈의 코덱이 뭐길래 종종 저를 괴롭힙니다. 코덱이란 코더(coder)와 디코더(decoder)의 합성어입니다. 동영상처럼 용량이 큰 파일은 작게 압축되는 인코딩 단계가 필요하고, 다시 화면에 재생할 수 있는 형태로 디코딩 되어야 합니다. 코덱은 음성, 영상 신호를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코더와 그 반대로 변환시키는 디코더의 역할을 함께하는 기술입니다. 아직 표준화가 되지않아 다른 코덱끼리는 호환되지 않기 때문에 동영상을 재생하기 위해선 그에 맞는 코덱이 필요한 것입니다. 파일이 재생 되지 않는다면 코덱 이름을 확인하여 호환되는 코덱을 다운받아 설치해보세요!
DirectX
멀티미디어와 게임 기능을 강화시켜 MS사에서 개발한 응용프로그램 인터페이스입니다. 2차원, 3차원의 그래픽과 사운드 등 컴퓨터에 게임에 필요한 기능을 갖추고 있습니다.
아이핀(i-PIN)
아이핀은 인터넷상에서 주민등록번호를 대체하는 개인 식별 번호입니다. 사이트 회원가입시 가상주민번호를 이용하여 주민등록번호의 유출을 막을 수 있습니다. 아이핀은 주민번호처럼 13자리로 이루어져있고, 그 번호를 외울 필요없이 아이핀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이용해 본인 인증을 하면 됩니다. 하나의 아이핀을 발급받으면 아이핀을 적용한 사이트(네이버, 다음 등)에서 사용이 가능합니다. 이미 가입한 회원도 아이핀을 발급 받은 후 아이핀 회원으로 전환하여 이용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다양한 서비스들이 있네요!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요 IT 용어 정리---2 (0) | 2012.11.27 |
---|---|
주요 IT 용어 정리--- 1 (0) | 2012.11.27 |
꼭 알아야하는 IT용어 - 1편 (0) | 2012.11.27 |
RIA Framework Appcelerator (0) | 2012.11.20 |
MCU란 무엇이며 어느 곳에 쓰여지고 있나? (0) | 2012.11.16 |